한국에서 가장 부자들 순위를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알아볼게요.
이름 옆에 * 는 자수성가를 의미합니다.
2010년
이건희 | 삼성 | 8조7927억 |
정몽구 | 현대 | 4조5633억 |
이재용 | 삼성 | 2조3373억 |
정몽준 | 현대중공업 | 1조9254억 |
신창재 | 교보생명 | 1조8921억 |
신동빈 | 롯데 | 1조7808억 |
이명희 | 신세계 | 1조7585억 |
정의선 | 현대 | 1조7251억 |
신동주 | 롯데 | 1조6917억 |
최태원 | SK | 1조4469억 |
자수성가로 부자가 된 인물이 한명도 없는 2010년입니다. 국내의 기존 대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.
2011년
이건희 | 삼성 | 8조5265억 |
정몽구 | 현대 | 7조1922억 |
최태원 | SK | 3조2445억 |
이재용 | 삼성 | 2조9191억 |
정의선 | 현대 | 2조8455억 |
박현주* | 미래에셋 | 2조4638억 |
정몽준 | 현대중공업 | 2조3645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2조3358억 |
신동빈 | 롯데 | 2조1487억 |
신동주 | 롯데 | 2조0378억 |
미래에셋과 IT기업 넥슨을 포함한 자수성가 2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IT기업으로는 최초로 10대 부자에 들어왔고 자수성가로도 마찬가지 입니다.
2012년
이건희 | 삼성 | 8조8859억 |
정몽구 | 현대 | 6조6377억 |
이재용 | 삼성 | 3조8541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3조5329억 |
정의선 | 현대 | 2조9976억 |
정몽준 | 현대중공업 | 2조6765억 |
최태원 | SK | 2조2482억 |
신창재 | 교보생명 | 2조0341억 |
신동빈 | 롯데 | 1조9270억 |
구본무 | LG | 1조9270억 |
2011년에 넥슨과 있던 미래에셋은 순위에 밀려났고 넥슨의 김정주 회장은 유일한 자수성가로서 4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
2013년
이건희 | 삼성 | 12조8340억 |
정몽구 | 현대 | 6조8220억 |
이재용 | 삼성 | 3조8650억 |
정의선 | 현대 | 3조4840억 |
신동빈 | 롯데 | 2조3970억 |
최태원 | SK | 2조3720억 |
신동주 | 롯데 | 2조2480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2조1840억 |
이재현 | CJ | 2조0820억 |
신창재 | 교보 | 2조0700억 |
기존의 상속증식으로 부를 쌓았던 기업들이 10위를 모두 차지하고 있습니다. 넥슨은 순위에서 밀려난 모습입니다.
2014년
이건희 | 삼성 | 13조2870억 |
정몽구 | 현대 | 7조6440억 |
이재용 | 삼성 | 5조1790억 |
정의선 | 현대 | 4조4620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4조3400억 |
최태원 | SK | 3조0500억 |
신창재 | 교보 | 2조2370억 |
신동빈 | 롯데 | 2조1920억 |
이재현 | CJ | 2조1560억 |
신동주 | 롯데 | 1조9690억 |
작년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대기업들이 순위를 모두 차지하고 있으며 작년의 상위권들과 같은 기업들이 순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2015년
이건희 | 삼성 | 12조3838억 |
이재용 | 삼성 | 7조8021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6조8627억 |
정몽구 | 현대 | 6조6067억 |
정의선 | 현대 | 4조6405억 |
최태원 | SK | 3조5757억 |
김범수* | 카카오 | 3조1794억 |
신창재 | 교보 | 3조1365억 |
이부진 | 호텔신라 | 2조3701억 |
이서현 | 제일모직 | 2조2701억 |
기존의 대기업 상위권을 카카오의 김범수 회장이 자수성가로서 뚫고 올라 왔습니다. 롯데가 순위에서 밀려난 모습입니다.
2016년
이건희 | 삼성 | 14조4418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9조6279억 |
이재용 | 삼성 | 7조1063억 |
권혁빈* | 스마일게이트 | 5조6162억 |
정몽구 | 현대 | 5조5016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4조6993억 |
임성기* | 한미약품 | 4조4701억 |
최태원 | SK | 3조8970억 |
정의선 | 현대 | 3조2093억 |
김재철 | 동원 | 2조8654억 |
자수성가한 인물들이 3명이나 올라온 최초의 해입니다. IT기업 2명과 한미약품으로 기존 부자들의 순위에 큰 변동이 보입니다.
2017년
이건희 | 삼성 | 18조7068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7조4604억 |
이재용 | 삼성 | 6조9037억 |
권혁빈* | 스마일게이트 | 6조7923억 |
정몽구 | 현대 | 5조0107억 |
최태원 | SK | 4조0086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3조3405억 |
박현주* | 미래에셋 | 3조0064억 |
정의선 | 현대 | 2조6724억 |
이중근* | 부영 | 2조5610억 |
작년과 마찬가지로 자수성가 인물들이 상위권에 많이 나타납니다. 2011년에 상위권에서 밀려난 미래에셋이 6년만에 재탈환 하였습니다.
2018년
이건희 | 삼성 | 22조0523억 |
서정진* | 셀트리온 | 11조7755억 |
이재용 | 삼성 | 8조4570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8조1358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7조6006억 |
정몽구 | 현대 | 5조2455억 |
최태원 | SK | 5조0314억 |
권혁빈* | 스마일게이트 | 4조6032억 |
방준혁* | 넷마블 | 3조1045억 |
임성기* | 한미약품 | 3조0509억 |
자수성가 인물이 절반이 된 최초의 해이자 IT기업이 3명, 생명기업이 2명으로 부자 기업들의 종류가 많이 변했습니다. 또한 셀트리온이 단숨에 2위에 올라감으로써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줍니다.
2019년
이건희 | 삼성 | 19조8022억 |
서정진* | 셀트리온 | 8조7724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7조4258억 |
이재용 | 삼성 | 7조1901억 |
정몽구 | 현대 | 5조0684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4조1255억 |
박연차 | 태광실업 | 3조7718억 |
권혁빈* | 스마일게이트 | 3조4182억 |
최태원 | SK | 3조3004억 |
김범수* | 카카오 | 3조1825억 |
자수성가가 4명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IT기업은 강세입니다. 넥슨이 3위까지 올라왔습니다.
2020년
이건희 | 삼성 | 20조8586억 |
서정진* | 셀트리온 | 13조7484억 |
김정주* | NXC(넥슨) | 11조5776억 |
이재용 | 삼성 | 8조0802억 |
김범수* | 카카오 | 6조2712억 |
권혁빈* | 스마일게이트 | 4조8240억 |
최태원 | SK | 3조9798억 |
정몽구 | 현대 | 3조8592억 |
서경배 | 아모레퍼시픽 | 3조6180억 |
김택진* | 엔씨소프트 | 3조0150억 |
다시 자수성가와 상속증식이 5:5의 비율로 바뀌었습니다. 자수성가 중에 IT기업이 4명으로 IT기업의 강력한 성장이 보입니다.
출처
포브스, 포브스코리아
위에 정리한 표를 그래프로 표현한 영상을 밑에 첨부합니다.
'통계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년 커피 브랜드 매장수 TOP 20 (0) | 2021.04.25 |
---|---|
2019년 떡볶이 브랜드 매출 순위 Top 10 (0) | 2021.04.23 |
2010년 ~ 2017년 이산화탄소 배출 국가 순위 TOP 10 (0) | 2021.04.22 |
2020년 치킨 브랜드 가맹점 수 TOP 20 (0) | 2021.04.18 |
2019년 치킨 브랜드 매출 순위 TOP 20 (0) | 2021.04.18 |